목록개발/소식 (9)
비트와 자장가

6월 1일부터 프로그래머나 디자이너를 위한 두 번째 고정폭 글꼴 헤살체 텀블벅 후원이 시작됐습니다. 셈틀체와 달리 한글을 먼저 제작하고 이후 어울리는 로마자를 디자인했습니다. 의도대로 섞어짜기에 참 적합한 글꼴입니다. 일상 폰트로 사용하며 테스트 중인데 마음에 듭니다. 기능주의에서 벗어나 삐침이라든가 곡선에서 좀 더 케챺을 뿌렸는데, 4K 32인치 정도의 높은 PPI의 디스플레이에선 정말 기분이 좋습니다. 2K 32인치 디스플레이에선 아직 좀 더 조정이 필요한 듯해요. 구경하고 가시죠. 헤살체ㅡ(프로그래밍/디자인) 섞어짜기 고정폭 한글꼴 (프로그래머나 디자이너를 위한) 두 번째 섞어짜기 고정폭 한글꼴 헤살체 www.tumblbug.com
리눅스를 맥에서 돌리는 데 성공한 아사히 리눅스 프로젝트의 성과를 이어 m1n1 하이퍼바이저를 사용해 M1, M2 그리고 미래의 애플 실리콘칩까지 ARM64기반 맥에서 윈도우즈를 돌리려는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다. Welcome to the Apple Silicon Windows project m1windowsproject Project maintained by amarioguy Hosted on GitHub Pages — Theme by mattgraham Welcome to the Apple Silicon Windows project Keeping things simple, the goal is to hopefully run Windows on Apple’s M1 and M2 chips (and hop..

아톰이 사라진다. 2022년 12월 15일부로 아카이빙 될 예정. 아톰. 미니멀하고 좋지만 애매한 위치라 사용을 거의 하지 않아왔다. 정말 가벼운 텍스트에디터로는 vim을 쓰고 가벼운 텍스트에디터로는 vscode를 쓰고 프로젝트 진행할 땐 IDE를 썼으니. 나뿐만 아니라 다들 그랬을 것 같다. 하지만 그래서 지원을 종료했다고 하기에는 그럴 거면 개발을 애초에 안 했을 것 같고. 개인적으로는 깃헙을 마이크로소프트가 인수했기 때문이 아닐까 한다. vscode 쓰라 이거지. (괜찮은 에디터라고 생각하지만 마이크로소프트 거라 생각하면 괜히 쓰기 싫어진다) (생각해보면 마이크로소프트는 운영체제 빼고 다 잘 만드는 것 같다) 다만 오픈 소스니 아톰을 좋아하는 집단이 이를 포크로 계승해 이어가려는 움직임이 있지 않을..
스위프트 5.7에 regex 문법이 추가되었다. 아직 정리를 한 곳이 없는 것 같아서 직접 예시를 만들어보았다. 레젝스 리터럴 먼저, 자바스크립트랑 비슷한 레젝스 리터럴 문법이다. let emailRegex = /^[\w\.-]+@[\w\.-]+[\w-]{2,}$/ let invalidEmail = "efd-sadf.1203@f(nv.cofm" let validEmail = "efd-sadf.1203@fnv.cofm" extension String { var isValidEmail: Bool { self.wholeMatch(of: emailRegex) != nil } } invalidEmail.isValidEmail // false validEmail.isValidEmail // true 레젝스 빌더 보..
hacking with swift를 운영하는 폴 허드슨 씨의 정리 벌써 SwiftUI의 세 번째 업데이트다. 베타 때부터 열심히 쫓아왔는데 이제 확실히 쓸만해졌다. 선언형 프로그래밍을 좋아하진 않지만 직관성과 애니메이션 관리 측면에선 장점이 확실하다. 무엇보다 xcode를 무시하고도 UI를 완성할 수 있다는 점이 좋다. 모바일앱의 완성도는 마이크로트랜지션이 핵심이라고 믿는데, UIKit으로 복잡한 애니메이션을 만들 생각을 하면 한 세월이 갈 것 같다. 그래서 연습삼아 UIKit을 써보고 싶다가도 실제 프로덕션에서 사용 안 할 텐데(이건 내 경우로, 회사는 정반대로 UIKit만 사용한다. 행여나 오해 마시길) 굳이 할 필요가 있나 싶다. iOS16부터 지원되는 이번 업데이트는 아이폰 6s와 7, SE1을 ..

키노트에는 별 내용도 없고, 재미도 없어 실망하며 대충 봤고 컨퍼런스 비디오들에서 잃은 흥미를 만회하는 중이다. 관심이 가는 부분은 우선 아래 정도. 아이패드의 드라이버킷(usb-c를 사용해 아이패드 지원 하드웨어 개발이 가능해진다) 아이패드의 스테이지 매니저; 아이패드가 확실히 컴퓨터가 되어간다 제네릭 타입 추론이 아주아주아주 빨라짐 프리뷰 화면이 나아짐(원래 후져서 안 썼는데 진실인지 확인해봐야겠음) 스위프트 regex 문법 추가 스위프트UI 업데이트 matter 표준 지원 추가 암호없는 로그인 기술 passkey (FIDO 표준) 추가 Metal3 MetalFX 업스케일링 Meet passkeys - WWDC22 - Videos - Apple Developer It's time for a secur..
요즘 세상이란... "세상을 위한 자막" 기술도 기술이지만, 저 비유가 무척 마음에 들었다. 세상을 위한 자막subtitle for the world. 머신러닝이 확실히 서서히 시장에서 움트고 있다. 지난달 일이라는 멀티서치도 난 사실 이번에 처음 들었다. 좋은 정보, 유효한 정보를 골라내는 게 점점 어려워지고 있었는데, 검색의 방식이 이런 식으로 달라질 줄이야. 다음과 네이버는 검색엔진 개선 빼고는 다 하려는 것 같은데 말이다. 가장 신나는 일은 물론 연구실에서 일어난다. GPT-3를 사용해 범용적인 일들을 처리하는 로봇이 가능해졌다. 특이점이 눈앞에 있는 것만 같다.
스위프트 네이티브로 시스템 프로그래밍이 가능해지는 "스위프트 시스템" api가 어제 오픈소스화 됐다. 크로스플랫폼이 아니라 멀티플랫폼으로, 맥, ios, watchos, tvos를 지원하고, 소스가 공개되며 리눅스 지원을 추가했다고 한다. "we’ll be working to adopt System in the Swift Package Manager. This will include enhancements to FilePath and adding support for the recently announced Swift on Windows." 하지만 머잖아 윈도우즈도 지원할 예정이라고 한다. Our immediate goal is to simplify building cross-platform librar..